인터넷을 비롯한 수많은 매체에서 쏟아져 나오는 이미지의 홍수의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순수 회화’란 용어는 빈 껍데기만 남은 말 같다. ‘무엇을 그릴까’라는 화두는 역사를 거치며 더 많은 레퍼런스를 거르고도 남는 그 무엇에 관한 것이어야 하겠지만 제목만 바뀐 것일 뿐 내용이며 심지어 등장 인물의 이름도 비슷한 드라마나 영화, 화성이 거의 똑 같은 여러 음악들처럼 ‘독창성’이란 ‘저작권’이란 용어와 다를 바 없다. 나는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에 등장하던 여러 오브제들을 변형, 재구성하여 회화, 설치 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였고 화재로 인해 원본이 소실되고 흑백의 사진만 남아 있어 원래의 색채를 누구도 알 수 없다는 카라바조(Caravaggio)의 작품을 모사하여 나의 색채를 가미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렇게 패러디한 옛 대가들의 작품을 ‘사진’이라는 매체로 재패러디하고 변형하면서 내가 갖고 있는 습관이나 패턴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천, 마스킹 테이프, 프린트, 미러지 등의 사용을 통해 물감과의 이질감 혹은 조화를 이끌어 내는 우연적 효과를 만들어 내기도 하고 투명 미디움을 겹쳐 사용함으로써 시간의 추이를 나타내고 싶었다. 두 개의 원본을 만들어 내는 작업은 결국 어디에나 있는 원본, 하잘것없는 것들이 갖는 의미에 대한 강한 그리움의 표현이며 내 안에 무수히 담겨 있는 많은 사람들의 모습을 드러내고 동시에 그들과 다를 수밖에 없는 나를 찾는 일, 나만의 바니타스(Vanitas) 화법에 관한 것이다.
- 김윤경 작가노트
Pilgrimage to Isidro, Oil on canvas, 390x130cm, Kim Yoon Kyung, 2022
코드로 분열하는 세계
김윤경의 전시 [고야의 방, 판타스틱 비전(Goya’s Room, Fantastic Vision)]은 고야의 블랙 페인팅(Black Painting) 시리즈를 참고한다. 하지만 원작의 분위기와는 달리, 완전히 밝고 화사한 분위기로 반전되어 있다. 전시 키워드에 포함된 ‘환타스틱 비전’은 설치 작품에 동원된 재료들이 키치적 사물이라는 점과도 관련된다. 키치란 무료한 일상을 ‘환타스틱’하게 전환시키기 위한 대용품이기 때문이다. 필림 블롬은 [수집]에서 키치는 이상세계에만 등장한다고 말한다. ‘그곳은 우리가 꿈꿀 수 있을 만큼만 가까우며 실제로 추구하지 않을 만큼만 먼 환상의 세계’(필림 블롬)이다. 작품 속 성모마리아 상 같은 것들이 원래부터 키치는 아니었다. 종교적 성상 또한 산업 시대를 맞아 대량 생산된 상품이 됨으로서 키치의 대열에 포함됐다. 고야같이 이미 미술사의 반열에 오른 작가들 또한 마찬가지다. 수많은 예술적 성지순례 길에 작가 관련 상품들을 생각해 보라.
키치와 (고급)예술은 정반대로 보이지만, 산업자본주의 시대에 같이 태어난 짝패로 평가된다. 김윤경의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이 짝패다. 신화 및 종교와 관련되어 있던 예술을 자율화한 시대가 근대다. (순수)예술은 동굴벽화 때부터가 아니라 산업 시대부터 시작됐다. 키치 또한 그렇다. 예술과 키치는 겉으로만 반대되는 짝패가 되어 예술과 문화의 변증법을 추동했다. 거시적으로 봐서, 모더니즘 시기에는 순수예술에 대한 미학적 이데올로기가 키치를 지양했고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에는 키치를 지향했다. 김윤경의 작품에서 환상적 비전을 더욱 강화하는 것은 키치적 사물에 많이 덧입혀지는 따스하고 화려한 색감이다. 원래의 재료를 속이는 경향이 있는 싸구려 물건들의 피상적 속성을 색깔로 강조했으며, 어떤 대상은 일부러 아무렇게나 칠해졌다. 싸구려 물건들의 가벼움을 더욱 가볍게 하기위해 작가는 미술사상 가장 우울하고 묵직한 예술가를 호명했다.
이선영(미술평론가) - 글의 일부 발췌
We live in the era of multi-media and get lots of random images that are undistinguishable from what we consider as a work of art nowadays. Visual images from movies and TV dramas seem to be unmemorable and look same as the plot of them seems to be similar to one another. It is true that a work of art, such as a painting, a poem and a song that should be original and creative, has a lot of influences from the past. In that aspect, every image belongs to the present as well as every artwork is a parody. Indeed, the charm of parody is that it evokes various emotions like what we feel about an old friend and old songs, etc.
My artwork started with my yearning for the colors that once were covered on old statues that I imagine. While making a composition for my still-life painting with props like a white plaster head, which is a fake mass produced goods, my imagination for the original color of the first Venus got bigger. Now I try to make paintings reflecting all kinds of emotions that colors evoke. Using references, such as images from movies, TV dramas, those of the masters’ artwork and some old black and white pictures that I randomly choose on the internet makes me yearn for other dimensions even though I feel as if I was a ghost writer writing about others’ story.
A painting can be valued differently as time goes by, alluding a lot of things, such as random objects, people, events and other artworks in the history of art. It has temporality and spatiality that can be marked by a fundamental paradox, which inspired me to think of a painting referencing Goya’s Black paintings and various patterns reflecting the circumstances that we face in our daily lives.
‘Fantastic Vision’ is the title of the series of my recent works. It is one of the 14 Black Paintings that the Spanish painter, Francisco de Goya made from the later years of his life. They depict intense, haunting themes, reflective of both his fear of insanity and his bleak outlook on humanity. Due to his illness, the Napoleonic Wars and the turmoil of the changing Spanish government, Goya developed an embittered attitude toward mankind, which might have led to his production of the Black paintings. Living in a secluded place, he applied oil paints directly on the walls of his dining and sitting rooms, and created works under dark, disturbing themes. The paintings were not commissioned and were not meant to leave his home. It is likely that he never intended the works for public exhibition, which makes me wonder if a painting is an interior monologue that heals the artist as well as it is a monologue that influences the audiences somehow. As the Black paintings reveal the true color of the bleak world at that time, Goya must have chosen them as a means to heal himself like a lot of artists under the chaos of the Corona pandemic these days sublimate their fear into a work of art while locking themselves to socially distance.
Yellow ochre, gold, brown, grey and black are the colors used for the Black paintings Only the occasional white shines from clothes to give contrast or the rare stroke of blue from the sky or green from a landscape. Most scenes of the Black paintings are nocturnal and with a stark absence of light like an ominous, gloomy and earth-toned illustration depicting Goya’s fearful inner state, which gives me an urge to make them as colorful as a rainbow, a spectrum of hope.
Reinterpreting various artworks and using random images as a reference on my canvas while making a harmony of colors in my own order, I’d like to remind the viewers of the temporality in art, which is about how we perceive time and space of a work of art that belongs to the present all the time.
-Kim Yoon Kyung
The Dog, Oil on canvas, 162, 97cm, Kim Yoon Kyung 2022
전시명: 판타스틱 비전 (Fantastic Vision), 김윤경 개인전
작가: 김윤경(Kim Yoon Kyung) @yoonkim1052
전시공간: 리알티(대구 중구 국채보상로140길 23)
전시일정: 2022. 11. 22. (화) ~ 11. 29. (화), 오전11시~오후5시 (월요일 휴관)
문의: 010-2784-0827
-본 사업은 2022 대구문화재단 개인전시지원입니다.